고퀄영어교실

목적어(Object)는 동사의 목적이 되는 단어인가? 본문

영문법과 영어독해

목적어(Object)는 동사의 목적이 되는 단어인가?

고퀄킹 2022. 5. 4. 10:49
반응형

목적어에 대한 잘못된 인식

 

목적어라고 하는 용어 역시 동사를 활용하면 좀 더 그 개념이 쉬워질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흔히 목적어를 동사의 목적이 되는 말이라고 하면서, 목적격 조사인 '~을' 또는 '~를'로 끝나는 말로 간략하게 설명하곤 합니다. 이것이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처음에 이러한 방식으로 한국어의 조사에 의존하여 목적어의 개념을 잡는다면, 한국어의 목적격 조사대로 해석되지 않을 때는 이를 목적어로 인식하지 못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정사가 목적어 역할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면서 아래와 같은 예문을 활용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 David wanted to go fishing with his friends.

 

문장 (1)에서 to go fishing은 동사 wanted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학생이 한국어로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서 to go fishing를 동사의 목적어로 생각할 수도 있고, 그렇게 생각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학생이 목적어를 한국어의 목적격 조사에 의존한 개념으로 인식한다면, 이러한 점이 학생의 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입니다. 

 

이렇게 한국어의 조사에 의존해서 목적어의 개념을 학생들에게 알려주는 것은 4형식 문장을 학습하는데 있어서도 방해요소가 됩니다. 4형식 문장에서는 ‘~에게’라고 해석되는 간접목적어가 있는데, 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게다가, 고등교육 과정을 학습 할수록 한국어의 목적격 조사로 끝나는 말로는 목적어를 해결할 수 없는 문장들도 자주 접하게 됩니다.

 

 (2) We challenged the regulations which restricted water supply.

 

예를 들어서, 위문장을 해석할 때, 한국어의 목적격 조사를 이용해서 목적어인 regulationd을 해석하려고 하면 동사 challenged를 ‘도전하다’로 해석하여 조금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그러나, 이 문장에서 challenged를 ‘~에 이의를 제기하다’라고 해석하면 문장의 의미가 자연스러워지는데, 이러한 경우에 한국어의 목적격 조사에 익숙한 학생들은 challenge의 뜻을 선뜻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적당히 이해하고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치사의 목적어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것은 전치사의 목적어라는 개념입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한국 학생들이 모르고 그냥 넘어가는 개념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교육현장에서 이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물어보면,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조차도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문장 하나를 한국어와 영어로 각각 작성해 보겠습니다.

 

 (3-1) 나는 아버지와 함께 숲에서 산책했다.

 (3-2) I walked with my father in the forest.

 

위 영어문장에서는 ‘with'와 ’in'이라는 두 개의 전치사가 나오는데, 이들은 각각 ‘my father'와 ’the forest'라는 목적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을' 또는 '~를'로 끝나는 말이라고 하는 목적어의 개념에 익숙한 학생들은 이 문장에서 my father와 the forest가 왜 목적어가 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 경우에 한국어 문장을 같이 작성하고, 한국어에서 영어의 전치사 with와 in에 해당되는 조사표현을 각각 확인하고 그와 함께 붙어 있는 명사표현을 생략해 보도록 시킵니다. 그리고 영어문장에서도 my father와 the forest를 생략하고 문장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합니다. 그러면 위의 두 문장들은 필수 구성성분인 목적어들을 삭제시켰기 때문에 문장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전치사의 목적어라는 개념을 이해하게 됩니다.

 

요약

 

지금까지 목적어에 대한 잘못된 개념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제시해 보았습니다. 영어에서 목적어라는 어휘에 해당되는 Object는 ‘대상’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동사의 대상이 되는 말, 그리고 전치사의 대상이 되는 말이 목적어의 개념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을 적절한 예문들과 함께 지도한다면, 목적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나아가서는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인식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