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퀄영어교실
보어(Complement)는 보충해주는 말인가? 본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어의 개념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보어의 개념
우리가 문장의 보어를 영어 이니셜로 표시할 때 사용하는 대문자 (C)는 Complement라고 하는 단어의 첫 알파벳을 따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Complement라고 하는 이 단어의 의미를 보면, '보충한다'라는 의미도 있지만, '보완한다'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보어의 개념을 설명할 때, '보충'이라는 개념보다는 '보완'의 의미로 접근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보어는 단순히 문장에서 의미를 보충해주는 정도가 아니라 '보충해서 문장을 완성시키는 구성요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장의 필수 구성요소라고 하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저 문장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역할이라면, 그것은 수식어에 해당되는 것이고, 이런 수식어는 문장의 필수성분에 해당되지 못합니다.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
영어문장의 형태 중에서 보어를 수반하는 문장의 형태는 2가지입니다.
(1) Timothy became a doctor.
(2) Timothy made me happy.
문장 (1)에서는 명사인 a doctor가 문장의 보어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어인 Timothy와 동격의 관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만약에 a doctor를 삭제한다면, 문장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장 안에서 주어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보어를 주격보어라는 명칭으로 부릅니다.
문장 (2)에서는 형용사 happy가 문장의 보어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어인 Timothy와는 어떠한 관계도 형성하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에 목적어인 me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만약에 happy를 삭제하게 되면, 문장은 성립할 수 있지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어가 아닌 목적어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보어를 목적격보어라고 부릅니다.
이와 같이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는 그 어느 것도 단순히 문장에서 의미를 보충하는 수식어 역할만을 하지 않습니다. 문장이 올바르게 형성되고, 그 의미가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해주는 문장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입니다.
보어의 역할을 하는 품사 : 명사와 형용사
영어문장에서 보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입니다. 이 두 가지 품사가 문장의 보어자리를 차지하면서 어떤 차이가 발생하게 될까요? 매우 단순한 차이가 발생되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너무 쉽게 해석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굳이 그 차이를 알려고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단순한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나중에 영어학습의 진도에 커다란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명사와 형용사가 문장에서 보어의 역할을 하고 있을 때, 주어나 목적어와 어떤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지 단순한 예문들을 통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 Alice is very smart.
(4) Alice is a famous singer.
(5) They will keep your body cool.
(6) They called him Dr. Faust.
문장 (3)에서는 형용사가, 그리고 문장 (4)에서는 명사가 각각 주격보어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두 문장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앞서 주격보어를 소개했던 부분에서도 설명 했듯이 여기에서는 주어와의 관계 차이가 있습니다. 문장 (3)에서처럼 형용사가 주격보어 역할을 하면 형용사의 개념이 그렇듯이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면서 주어를 설명합니다. 하지만 문장 (4)에서처럼 명사가 주격보어 역할을 하면 주어와 동격관계를 형성하면서 주어를 설명합니다.
문장 (5)에서는 형용사가, 그리고 문장 (6)에서는 명사가 각각 목적격보어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두 문장에서도 보어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품사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 역시 관계의 차이가 발생됩니다. 다만, 이 두 문장에서는 주어가 아니라 목적어와의 관계일 뿐입니다. 문장 (5)에서는 형용사 cool이 동사 keep의 목적격보어로 역할하면서 목적어인 your body의 상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문장 (6)에서는 명사인 Dr, Faust가 주어가 아닌 목적어와 동격관계를 형성하면서 him이 곧 Dr. Faust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대단한 차이는 아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이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나중에 동명사와 분사를 구분하는 것이라든가, 혹은 부정사의 역할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영문법과 영어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Clause)의 개념과 종류 (0) | 2022.05.14 |
---|---|
영어문장이 길어지고 복잡해지는 이유 (0) | 2022.05.10 |
목적어(Object)는 동사의 목적이 되는 단어인가? (0) | 2022.05.04 |
주어(Subject)는 문장의 주인이 되는 말이라고? (0) | 2022.05.04 |
나는 정말 명사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있을까? (0) |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