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퀄영어교실
AI 진단 프로그램을 통한 의사 진단의 공식화 [2023 수능특강 영어] 본문
Physicians' Intuitive Diagnosis Becomes Formalizable through AI Programs
Physicians claim that a lot of what they do is intuitive. It is reasoning through the associations built up over years of practice. But when AI scientists work on the problem of medical diagnosis, their effort is to see the diagnostic process as a set of explicit procedures that can be captured in a program. AI experts attack the problem by interviewing a physician over the course of months, trying to pin down every aspect of how he or she makes decisions. They model the structure of that practical knowledge which "feels intuitive." The resulting program will, given the same information as the physician, usually come to the same conclusion. The process of writing such programs has a side effect. If the program "thinks" henceforth like the physician, the physician's thinking about his or her activity has been changed by collaboration in the making of the program. What once seemed intuitive to the physician has been shown to be formalizable.
<2023 수능 연계교재 수능특강 영어>
♠ 내용정리 : AI 진단 프로그램을 통한 의사 진단의 공식화
의사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 중 많은 부분이 직관적이라고 주장하며, 그것은 여러 해에 걸친 자신들의 업무에서 축적된 연관성을 통한 추론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인공 지능 과학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의사들의 의학적 진단 문제를 프로그램에 담길 수 있는 일련의 명시적 절차로 볼 수 있습니다. 인공 지능 전문가들이 진단 과정을 프로그램으로 재현해보려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여러 달에 걸쳐 한 의사를 인터뷰함으로써 그 의사가 결정하는 방식의 모든 면을 정확히 밝히려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합니다. 우선 AI 전문가들은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그 실제적인 지식의 구조를 모형으로 만들고, 그 결과로 나온 프로그램이 의사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일반적으로 의사와 똑같은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에서는 뜻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프로그램이 이후에 그 의사처럼 ‘생각한다’라고 해도, 정작 자신의 (의학적 진단)활동에 대한 의사 자신의 견해가 그 프로그램을 만들 때의 협업 때문에 이미 바뀐 상태입니다. 즉, 진단을 내리는 것이 직관적인 활동이라고 여겼지만,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그 직관을 모니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명시적인 작업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결국, 전에는 그 의사에게 직관적인 것으로 보였던 것이 공식화 내지는 시각화 또는 체계화가 가능한 것으로 여기게 된 상태로 된것입니다.
♠ Grammar Note : 명사절과 분사구문
1. Physicians claim that a lot (of / what they do) is intuitive.
2. AI experts attack the problem by interviewing a physician over the course of months, trying to pin down every aspect (of / how he or she makes decisions).
3. What once seemed intuitive to the physician / has been shown to be formalizable.
1. 명사절의 역할
위 3 문장은 각각 명사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명사절은 문장에서 명사와 똑같은 역할, 즉 주어, 목적어, 그리고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문장 1>과 <문장 2>의 명사절은 둘 다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문장 3>의 명사절은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수식어 역할을 하는 다른 종속절들과 달리, 영어에서 명사절은 필수 구성성분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생략을 할 경우 문장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2. 명사절 접속사 : 의문 대명사 vs 의문 부사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들은 접속사의 역할 이외에도 대명사, 형용사, 그리고 부사의 역할을 갖고 있습니다. 위 문장에서는 대명사(what)와 부사(how)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대명사는 그 종류로 what, which, who(m)을 들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대명사이므로 자신이 이끄는 절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한 자리를 자기가 차지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그 뒷구조가 불완전하게 나옵니다. <문장 1>에서는 what이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고, <문장 3>에서는 주어 역할을 하고 있어서 그 뒷구조가 불완전하게 나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부사는 where, when, why, how를 그 종류로 들 수 있으며, 주어나 목적어 또는 보어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뒷구조가 <문장 2>에서 처럼 완전하게 나옵니다.
1. AI experts attack the problem by interviewing a physician over the course of months, trying to pin down every aspect of how he or she makes decisions.
2. The resulting program will, given the same information as the physician, usually come to the same conclusion.
3. 분사구문
분사구문은 원래 부사절이었던 부분은 축약한 형태로서, <문장 1>에서 처럼 능동 분사구문은 원래 부사절이 능동태 문장이었음을, <문장 2>에서 처럼 수동 분사구문은 원래 부사절의 문장이 수동태 문장이었던 것으로 보면 됩니다. 그리고 부사절을 축약하다 보니, 그 의미도 부사절 처럼 여러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문장 1>의 분사구문은 "while they are trying to pin down every aspect ~"의 의미로 볼 수 있겠고, <문장 2>의 분사구문은 "If it is given the same information as the physician"의 의미로 볼 수 있겠습니다. 특히 <문장 2>의 분사구문은 부사절을 축약하는 과정에서 'being given'으로 나오는 부분의 'being'을 생략해서 나온 결과입니다. 그리고 위 두 문장 모두 분사의 의미상 주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데, 그것은 부사절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이 주절의 주어와 동일한 대상이므로, 분시구문으로 축약하면서 표시하지 않고 생략한 것입니다. 만약, 주절과 부사절의 주어가 다르다면, 분사구문의 의미상의 주어는 주격으로 표시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영문법과 영어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발전이 관광산업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고(1) 전국연합 2022-09] (0) | 2022.11.15 |
---|---|
인간을 판단력 없는 기계로 만드는 로봇 [고(1) 전국연합 2022-09] (0) | 2022.11.14 |
효과적인 과학 커뮤니케이션 [2023 수능특강 영어] (0) | 2022.11.09 |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고(2) 전국연합 모의고사 (2018년 11월)] (0) | 2022.11.08 |
사회기술적인 공학지식 [2023 수능특강 영어]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