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퀄영어교실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고(2) 전국연합 모의고사 (2018년 11월)] 본문

영문법과 영어독해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고(2) 전국연합 모의고사 (2018년 11월)]

고퀄킹 2022. 11. 8. 13:52
반응형

For several years much research in psychology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are driven by base motivations such as aggression, egoistic self-interest, and the pursuit of simple pleasures. Since many psychologists began with that assumption, they inadvertently designed research studies that supported their own presuppositions. Consequently, the view of humanity that prevailed in psychology was that of a species barely keeping its aggressive tendencies in check and managing to live in social groups more out of motivated self-interest than out of a genuine affinity for others or a true sense of community. Both Sigmund Freud and the early behaviorists led by John B. Watson believed that humans were motivated primarily by selfish drives. From that perspective, social interaction is possible only by exerting control over those baser emotions and, therefore, it is always vulnerable to eruptions of violence, greed, and selfishness. The fact that humans actually live together in social groups has traditionally been seen as a tenuous arrangement that is always just one step away from violence. <32번 지문>

♣ 내용정리

위 지문은 많은 심리학이 한 때 인간은 저급한 동기(base motivation)에 의해 움직이는 존재로 여겼던 관점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이 공격성, 이기적인 사리사욕, 단순한 즐거움의 추구와 같은 저급한 동기에 의해 이끌린다는 가정을 심리학의 바탕에 두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많은 심리학자가 그 가정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들의 가정을 뒷받침하는 조사 연구를 무심코 설계했습니다. 그 결과 심리학에서 우세한 인류에 대한 관점은 인류의 공격적 성향을 가까스로 억제하고, 타인에 대한 진실한 친밀감 혹은 진정한 공동체 의식보다는 동기화된 사욕에 의해 사회 집단 속에서 간신히 살아가고 있는 종이라는 관점이었습니다. 게다가 프로이트를 비롯한 초기 행동주의자들은 인간들이 주로 이기적인 욕구들에 의해서 동기부여되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은 그러한 더 저급한 감정들을 통제함으로써만 가능하고, 따라서 그것은 폭력, 탐욕 그리고 이기심의 분출에 항상 취약하다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인간들이 실제로 사회 집단 안에서 함께 산다는 사실은 폭력으로부터 언제나 겨우 한 걸음 떨어져 있는 미약한 합의라고 전통적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 Grammar Note

For several years much research in psychology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are driven by base motivations (such as aggression, egoistic self-interest, and the pursuit of simple pleasures.)}
  1. 접속사 that은 선행사 the assumption을 부연설명하는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관계대명사절 처럼 수식을 받는 형태의 선행사를 갖고 있지만, that이 대명사의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뒤가 완전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2. such as 이하는 base motivation을 수식하는 전치사구로서 형용사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Consequently, the view of humanity (that prevailed in psychology) / was / that of a species (barely keeping its aggressive tendencies in check / and managing to live in social groups / more out of motivated self-interest / than out of a genuine affinity for others or a true sense of community.)
  1. 문장의 본동사는 was입니다. 
  2. 주격관계대명사절에 있는 동사 prevail은 자동사이므로 수동형 동사로 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that은 문장의 주어인 the view를 받는 대명사입니다.
  4. keeping ~ in checkmanaging to live 이하는 명사 a species를 병렬구조로 후치수식하는 분사구입니다. 
  5. more A than B : B라기 보다는 A의 뜻을 갖고 있으며 out of가 이끄는 전치사구가 병렬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he fact (that humans actually live together in social groups) has traditionally been seen / as a tenuous arrangement (that is always just one step away / from violence.)
  1. that은 the fact를 부연설명하는 동격적을 이끌고 있습니다. 
  2. that은 a tenuous arrangement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절입니다. 

동격절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비교하면서 문장구조의 차이를 익힐 수 있는 지문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강의영상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1NgpVBn3co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