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퀄영어교실

동격절과 비교급 구문 본문

영문법과 영어독해

동격절과 비교급 구문

고퀄킹 2022. 9. 2. 11:55
반응형

Combative Sports Mirror Human Aggressiveness

There has been a general belief that sport is a way of reducing violence. Anthropologist Richard Sipes tests this notion in a classic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and violence. Focusing on what he calls “combative sports,” those sports including actual body contact between opponents or simulated warfare, he hypothesizes that if sport is an alternative to violence, then one would expect to fin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popularity of combative sports and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warfare. In other words, (1) the more combative sports (e.g., football, boxing) the less likely warfare. Using the Human Relations Area Files and a sample of 20 societies, Sipes tests the hypothesis and discover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mbative sports and violence, but a direct one, not the inverse correlation of his hypothesis. According to Sipes’ analysis, (2) the more pervasive and popular combative sports are in a society, the more likely that society is to engage in war. So, Sipes draws the obvious conclusion that combative sports are not alternatives to war but rather are reflections of the same aggressive impulses in human society. <고(2) 전국연합 모의고사>

지문의 문법 포인트

1. 동격절

위 지문에서 먼저 눈에 띄는 문법 포인트는 동격절입니다. 영어에서 동격을 표현하는 방법은 쌍콤마를 활용하기, 전치사 of를 활용하기, 그리고 위 지문에서 표시된 것 처럼 that절을 활용하기 등이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우리 지문에서 활용된 that절을 보시면 앞에 나오는 명사(a general belief와 the obvious conclusion)를 자세하게 보충설명 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접속사 that이 이끌고 있는 절(clause) 자체가 문장구성의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종의 수식어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 지문에서 밑줄로 표시해 놓은 일반 명사절과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이 둘 사이에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절을 이끌고 있는 that이 접속사 이외에 다른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뒷구조가 완전하다는 것입니다. 이를 관계대명사(that)절과 비교하면 차이가 있는데, 관계대명사절을 그 뒷구조가 불완전하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와 대명사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뒤에 나오는 구조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비어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어를 독해할 때, 우리는 적어도 여기서 언급한 세 가지의 that, 즉 동격절 접속사 that, 명사절 접속사 that, 그리고 관계대명사 that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the + 비교급 ~, the + 비교급

이 구문은 우리가 보통 '더비더비'라고 부르는 구문인데, 대체로 학생들이 해석은 잘 하지만, 막상 작성해보라고 하면 어려워하는 구문입니다. 이 구문을 제대로 작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비교급으로 만드는 어휘의 품사가 형용사인지 부사인지에 따라서 그 뒷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비교급을 부사 어휘로 만든다면, 부사는 문장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평서문의 어순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The more you have knowledge, the better you can write your article.'과 같은 문장에서 처럼 부사 much와 well을 이용해서 어렵지 않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교급을 형용사 어휘로 만든다면, 형용사가 문장에서 명사를 단순히 수식하는 역할인지, 아니면 보어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서 문장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선 형용사가 단순히 명사를 수식하기만 한다면, 비교급 바로 뒤에 수식받는 명사를 배치시키고, 그 명사가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 중에 어느 역할을 하게 될지에 따라서 뒷구조를 형성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The more knowledge you have, the more people are around you.'와 같은 문장에서 처럼 형용사 much와 many를 이용한 비교급으로 명사를 수식하고 그 수식받는 명사를 목적어와 주어로 각각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형용사 자체가 보어역할을 하는 구조라면, 우리 지문의 (2)번 문장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보통 문장의 보어자리가 비어 있는 구조로 형성됩니다. 물론 이 구조를 활용하고자 한다면 2형식 자동사 패턴뿐만 아니라 5형식 타동사의 패턴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공격성을 반영하는 전투적인 스포츠

위 지문은 스포츠가 폭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일반적인 믿음이 잘못되었으며, 오히려 인간의 공격성을 더 부각시킬 수 있다는 내용을 Richard Sipes라는 인류학자의 연구 및 검증 과정을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는 만약 스포츠가 폭력의 대안이라면, 누군가는 전투적인 스포츠’의 인기 전투의 빈도 및 강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 즉 축구나 복식같은 전투적인 스포츠가 더 많을수록 전투는 덜 일어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웁니다. 그러나, Sipes는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가설이 틀렸음을 검증하고 전투적인 스포츠 폭력 사이에 오히려 정비례 관계를 발견합니다. Sipes의 분석에 따르면, 전투적인 스포츠가 한 사회에서 더 만연하고 인기 있을수록, 그 사회는 전쟁에 더 자주 참여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Sipes는 전투적인 스포츠가 전쟁의 대안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 사회의 같은 공격적 충동의 반영물이라는 결론을 내립니다.

반응형